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리보트릴정 전문 의약품 집중 분석
    약 집중 분석 2019. 7. 26. 11:06

    리보트릴정은 전문 의약품으로 의사의 처방전이 있어야 구입이 가능하며 한국로슈에서 수입을 하고 있습니다. 보험코드는 645000160 이며 식약처에서 신경계감각기관용 의약품 > 중추신경계용약 > 항전간제 분류하고 있습니다.

    리보트릴정 외형정보

    성상 : 엷은 주황색의 원형 정제

    제형 : 나정

    모양 : 원형

    색상 : 주황

    분할선 : -

    식별표기 : (앞)ROCHE 0.5, (뒤)분할선

    리보트릴정 성분정보 및 저장 방법

    리보트릴정 성분은 클로나제팜 0.5mg 이며, 저장방법은 차광밀폐용기에 실온(1-30℃)보관하여야 합니다.

    리보트릴정 효능 효과

    1. 간질 및 부분발작(초점발작)

    2. 원발성 및 2차적으로 전신화된 강직간대발작(대발작)

    3. 유·소아 간질(특히 정형성 및 비정형성 결신발작)

    4. 공황장애

    리보트릴정 사용상 주의사항

    1. 경고

    1) 자살충동과 자살행동

    ① 항간질약을 복용한 환자에서 자살충동 또는 자살행동을 보이는 위험성이 증가되므로 항간질약을 치료받은 환자는 자살충동 또는 자살행동, 우울증의 발현 또는 악화 및 기분과 행동의 비정상적 변화에 대하여 모니터링되어야 한다.

    ② 항간질약을 처방받는 간질과 다른 많은 질병은 그 자체가 이환 및 사망, 치료기간 동안의 자살충동과 자살행동의 위험성증가와 관련된다. 따라서, 처방자는 항간질약 처방시 환자의 치료기간 동안 자살충동 또는 자살행동과 치료될 질병간의 연관성 유무 및 이 약의 유효성을 함께 고려한다.

    2) 알코올/중추신경억제제와의 병용투여

    이 약은 알코올/중추신경억제제와의 병용투여를 피해야 한다. 이러한 병용투여로 인하여 심한 진정작용, 임상적으로 유의한 호흡기계 및/또는 심혈관계 억제를 포함하는 이 약의 임상효과가 증강될 수 있고, 혼수 또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이 약은 알코올/중추신경억제제 급성 중독의 경우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3) 마약류와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의 병용투여 시 위험성

    마약류와 이 약의 성분인 클로나제팜을 포함한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의 병용투여는 깊은 진정, 호흡억제, 혼수상태 및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마약류와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의 병용투여는 적절한 대체 치료방법이 없는 환자에 한하여 처방하도록 한다. 관찰 연구에서 마약성 진통제와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의 병용투여는 마약성 진통제의 단독 투여에 비해 약물 관련 사망의 위험성을 증가시켰다. 이 약과 마약류의 병용투여가 결정되면 최저 유효용량으로 최단 기간 처방하도록 하고 호흡억제 및 진정의 징후와 증상에 대해 환자를 면밀히 추적관찰 하도록 한다. 이 약과 마약류를 함께 처방할 때는 환자와 보호자 모두에게 호흡억제와 진정의 위험에 대해 주의를 준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급성 협우각형 녹내장 환자

    2) 중증의 근무력증 환자

    3) 약물의존성 환자

    4) 알코올 또는 약물남용 환자

    5) 이 약 및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 환자

    6)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에 과민증 환자

    7) 중증의 간장애 환자

    8) 중증의 호흡부전 환자

    9) 이 약은 유당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갈락토오스 불내성(galactose intolerance),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Lapp lactase deficiency)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glucose-galactose malabsorption)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면 안 된다.

    10) 공황장애 치료가 필요한 수면무호흡증 환자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심·신장애 환자

    2) 뇌의 기질적 장애 환자(작용이 강하게 나타남)

    3) 척수성 또는 소뇌성 운동실조 환자

    4) 고령자(운동실조가 나타나기 쉽다.)

    5) 쇠약 환자

    6) 호흡기능저하 환자(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

    댓글

Designed by Tistory.